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gettext
- Python
- docker
- 현지화
- localization
- gettext_windows
- coursera
- AI
- internationalization
- deeplearning.ai
- I18N
- 국제화
- andrew ng
- Today
- Total
JMANI
PID Control Study 본문
1. 공식
MV : manipulated variable; 조작된 변수
SP : setpoint; 설정값
PV : process variable; 설정값으로 제어할 프로세스 변수
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PID_controller: 위키피디아
예시:
들어올릴 로봇 팔 위치: SP
감지된 로봇 팔 위치: PV
오류: SP - PV = e
오류 측정 후, 모터에 공급할 전류 양: MV
https://blog.opticontrols.com/archives/124: 대화형/비대화형/병렬 설명
대화형은 옛날방식,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
공정에 직접 상호작용하는 방식: direct field > pid에 적합하지 않음
closed-loop system; 폐쇄 루프 시스템 <-> open-loop system; 개방 루프 시스템
https://illustrationprize.com/ko/62-difference-between-open-loop-amp-closed-loop-system.html: 개방/폐쇄 루프 시스템
+ 개방 루프 시스템
input > control > output 형태로 피드백 없이 처음 조작으로 출력을 내는 것. 리모콘, 타이머 세탁기
+ 폐쇄 루프 시스템
input > control > feedback(반복) > output 형태로 처음 조작으로 바로 결과를 내지 않고 피드백을 통해 제어하는 것. 에어컨, 냉장고 등
Proportional; 비례, Kp : 오차의 크기에 비례하여 제어
Integral; 적분, Ki : 에러를 축적하여 제어, P제어에서 목표값에 근접함에 따라 정확하게 일치하지못하고 진동이 생기는 문제를 막아줌
Derivative; 미분, Kd : 에러의 변화량을 계산해서 제어, 빠르게 목표에 도달
Kp, Ki, Kd의 값 튜닝 > 게인 튜닝;gain tuning
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isHttpsRedirect=true&blogId=droneaje&logNo=221989463375 : pid 설명